애드센스에서 “수익 손실 위험 -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.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” 라는 경고 메시지가 떴다면, 이는 ads.txt 파일이 누락되었거나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.
특히, 블로그스팟(Blogger)에 맞춤 도메인을 연결했을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. 오늘은 그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✅ 해결 방법 (Blogger + 맞춤 도메인 사용 시)
1. Blogger 설정에 ads.txt 등록하기
-
블로그스팟(Blogger)에 로그인
왼쪽 메뉴에서 “설정” 클릭
-
“수익 창출” 섹션으로 이동
-
“사용자 정의 ads.txt 사용” 항목을 “사용”으로 변경
-
아래와 같이 애드센스용 기본 ads.txt 내용을 붙여넣기:
👉 위의 pub-0000000000000000
부분은 본인의 애드센스 퍼블리셔 ID로 바꿔야 합니다.
퍼블리셔 ID는 애드센스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통 pub-
로 시작합니다.
2. 적용 확인하기
-
맞춤 도메인을 쓰고 있다면:
https://도메인주소/ads.txt
로 접속해보세요. -
등록한 ads.txt 내용(google.com, pub-0000000000000000, DIRECT, f08c47fec0942fa0)이 제대로 나오면 정상입니다.
-
수정 후 애드센스에 반영되기까지 며칠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.
💡 참고 팁
-
ads.txt는 수익 보호를 위한 인증 파일입니다.
-
잘못된 퍼블리셔 ID를 입력하거나 ads.txt가 아예 없으면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-
애드센스 경고는 설정 완료 후에도 잠시 남아있을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.